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통

친구 사귀기 어려워하는 아이, 부모가 도와줄 수 있을까요?

by 꿈꾸는 미미 2025. 4. 1.
반응형

새 학기가 시작되면 아이보다도 부모 마음이 더 바빠집니다.
‘우리 아이, 친구는 잘 사귀고 있을까?’ 그 걱정 속에 이 글을 찾아오셨다면,

이미 당신은 아이를 누구보다 잘 살피고 있는 부모님이에요.

 

“엄마, 나 오늘도 그냥 앉아 있었어.”
새 학기, 아이가 툭 던진 이 말 한마디가 부모 마음을 철렁 내려앉게 합니다.

반이 바뀌고 친구들이 달라졌다고 해서 다들 금방 친해지는 건 아니죠.
하지만 우리 아이가 3일, 5일… 계속 혼자라면?
부모는 아이의 사회성 문제를 걱정하기 시작합니다.

 

📌 친구를 잘 못 사귀는 건 사회성 부족일까요?

꼭 그렇진 않아요.
사회성은 정해진 기준이 아니라, 성격과 기질에 따라 천천히 성장하는 능력입니다.
지금 친구 사귀기가 서툴러 보여도, 아이는 그 안에서 천천히 관계 맺기를 배우고 있어요.

“사회성은 나이에 맞게 자라고 있는 중일 수 있어요.”

 

🧠 아이의 유형을 알고, 맞춤 도움을 주세요

1. 불안이 큰 아이

  • 새로운 환경에서 긴장을 많이 함
  • 역할극이나 '사회적 리허설'로 상황을 미리 체험하게 해주세요

2. 자기중심적인 아이

  • 자기 욕구 표현은 잘하지만 타인 감정 공감이 부족해요
  • 양보, 차례 지키기, 함께 놀이하기 등 '함께'의 경험을 쌓아주세요

3. 어른에겐 친하지만 또래에게는 어려운 아이

  • 성숙한 말투나 행동을 선호해 또래와 부딪히는 경우
  • 같은 또래 친구들과의 자연스러운 놀이 기회를 만들어주세요

 

💬 부모는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?

아이의 모든 상황을 해결해주기보다는, 지지하고 기다려주는 역할이 중요합니다.
아이의 성향을 인정하고, “너도 괜찮아, 천천히 해도 돼”라는 메시지를 꾸준히 전달해 주세요.

“아직 서툴 뿐이에요. 아이는 관계 맺기를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.”

 

📌 마무리 한 마디

친구를 잘 사귀지 못한다고 해서 아이가 부족한 건 아닙니다.
부모가 먼저 아이의 특성을 이해하고,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만으로도
아이의 사회성은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어요.

 

출처 및 참고자료

※ 본 글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3월 뉴스레터 자료(2025)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.

반응형